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코파 이탈리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코파 이탈리아는 1921년에 시작된 이탈리아의 축구 컵 대회이다. 1922년 첫 대회가 열렸으나, 초기에는 리그 분열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고, 이후 중단과 재개를 거듭하며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유벤투스가 최다 우승팀이며, 2021-22 시즌부터는 참가 팀 수를 조정하여 대회를 운영하고 있다. 우승팀은 다음 시즌 UEFA 유로파리그 진출권을 얻고, 유니폼에 우승팀을 상징하는 모표를 부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파 이탈리아 - 히데그쿠티 난도르
    히데그쿠티 난도르는 1950년대 헝가리 축구 황금기를 이끈 핵심 선수이자 현대적인 공격형 미드필더의 선구자로, 잉글랜드전 해트트릭, 월드컵 준우승, 올림픽 금메달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은퇴 후에는 여러 클럽을 지휘하며 UEFA컵 위너스컵 우승을 차지하는 등 감독으로서도 성공적인 커리어를 쌓았다.
  • 국내 축구협회컵 대회 - 코파 델 레이
    코파 델 레이는 1903년부터 시작된 스페인의 축구 대회로, 스페인 최고 권위의 대회였으며, 다양한 리그 팀들이 참가하는 녹아웃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고, 우승팀에게는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와 UEFA 유로파리그 출전권이 주어지며, FC 바르셀로나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국내 축구협회컵 대회 - 천황배 JFA 전일본 축구선수권대회
    천황배 JFA 전일본 축구선수권대회는 1921년 시작되어 잉글랜드 FA컵을 모델로 한 일본 축구 협회 주최 토너먼트 대회이며, 우승팀에게 AFC 챔피언스리그 출전 자격이 주어진다.
코파 이탈리아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대회 이름코파 이탈리아 프레치아로사
로마자 표기Coppa Italia Frecciarossa
국가이탈리아
창립1922년
주최 기관이탈리아 축구 연맹
참가 팀 수44개 구단
국내 컵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대륙 컵유로파리그
공식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현재 시즌코파 이탈리아 2023-24
역대 우승
최근 우승팀유벤투스 (2023-24 시즌, 15번째 우승)
최다 우승팀유벤투스 (15회)
방송 정보
방송사Mediaset
국제 방송사 목록국제 방송사 목록

2. 역사

1921년 이탈리아 축구 선수권 대회가 CCI 선수권 대회FIGC 선수권 대회 두 그룹으로 나뉘면서 코파 이탈리아 초창기는 혼란스러웠다. FIGC는 명망 있는 클럽들을 잃은 후 새로운 컵 대회로 시즌을 강화하려 했다. 1922년 첫 대회에서는 F.C. 바도(F.C. Vado)가 우승했다.[2] 이후 1926-27년 대회가 32강전에서 취소된 것을 제외하고 1935-36년까지 대회가 열리지 않았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42-43 시즌 이후 중단되었다가 1958년에 재개되어 매년 개최되고 있다.[2]

파시즘 시대 8시즌 동안은 FA컵 형식을 본떠 진행되었으며, 우승팀에게는 삼색 스쿠데토가 수여되었다. 선수권 우승팀에게는 사보이 스쿠데토가 수여되었고, 현재의 컵과 완장은 1958년에 도입되었다.

1922년 첫 대회 이후, 1923년부터 1935년, 1944년부터 1957년까지 일시 중단되었다가 매 시즌 개최되고 있다. 참가 팀은 세리에 A 20팀, 세리에 B 22팀, 세리에 C 27팀, 세리에 D 9팀 등 총 78팀까지 참가한 적도 있지만 자주 변경되었다.

2018-19 시즌까지 TIM이 스폰서를 맡아 '''TIM컵'''으로 개최되었으나, 2019-20 시즌 결승전부터 코카-콜라가 스폰서가 되어 '''코파 이탈리아 코카-콜라'''[15]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20-21 시즌 결승전은 다시 TIM이 스폰서가 되어 '''TIMVISION 컵'''[16]으로 개최되었고, 2021-22 시즌 2회전부터 트레니탈리아의 고속열차 "프레차로사"가 후원하여 '''코파 이탈리아 프레차로사'''가 되었다.[17]

2021-22 시즌부터 대회 방식이 변경되어 세리에 A세리에 B의 40개 클럽과 세리에 C의 4개 클럽, 총 44개 팀으로 축소되었다.[18]

2. 1. 요약

1921년 시작된 이탈리아 축구 선수권 대회가 두 그룹으로 나뉘어 있어, 대회 초창기는 참가 팀들의 복잡성으로 혼란스러웠다. 한편에는 부유한 CCI 선수권 대회(이탈리아 축구 연맹)가 있었고, 다른 한편에는 빈곤한 FIGC 선수권 대회(이탈리아 축구 연맹)가 있었다. FIGC는 가장 명망 있는 클럽들을 모두 잃은 후, 새로운 컵으로 잔여 시즌을 강화하려 했다. 1922년에 열린 첫 대회에서는 F.C. 바도(F.C. Vado)가 우승했다.[2] 이후 경쟁자들 간의 합의에는 컵이 고려되지 않았는데, 1926-27년 토너먼트 실패(32강전에서 취소됨)를 제외하고 1935-36년까지 개최되지 않았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42-43 시즌 이후 중단되었다가 1958년에 재개된 이후 매년 또는 매 시즌마다 개최되고 있다.[2]

파시즘 시대 8시즌 동안은 FA컵 형식을 본떠 진행되었다. 다른 트로피가 있었고, 우승팀에게는 삼색 스쿠데토가 수여되었으며, 선수권 우승팀에게는 사보이 스쿠데토가 수여되었다. 현재의 컵과 완장은 1958년에 도입되었다.

1922년 첫 대회 개최 이후, 일시적인 중단(1923년~1935년, 1944년~1957년)을 거쳐 매 시즌 개최되고 있다. 예선은 리그 개막 전에, 1회전 이후는 리그 기간 중 수요일에 열린다. 참가 팀은 자주 변경되지만, 세리에 A 20팀, 세리에 B 22팀, 세리에 C 27팀, 세리에 D 9팀 등 총 78팀이 참가한 적이 있다.

2018-19 시즌까지는 이탈리아 통신 회사 TIM이 대회 스폰서를 맡아 '''TIM컵'''으로 개최되었지만, 2019-20 시즌 결승전은 코카-콜라가 대회 스폰서가 되어 '''코파 이탈리아 코카-콜라'''[15]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후 2020-21 시즌 결승전은 다시 TIM이 스폰서가 되어 '''TIMVISION 컵'''[16]으로 개최되었고, 2021-22 시즌 2회전부터는 이탈리아 철도 회사 트레니탈리아가 운영하는 고속열차 "프레차로사"가 후원하여 '''코파 이탈리아 프레차로사'''가 되었다.[17]

2021-22 시즌부터는 대회 방식이 변경되어 세리에 A와 세리에 B의 40개 클럽과 세리에 C의 4개 클럽을 합쳐 총 44개 팀으로 축소되었다.[18]

2. 2. 기원

대회 초창기는 변동이 심했고, 1921년에 출범할 때부터 대회 참가 조건이 까다로웠다. 당시 이탈리아의 리그는 둘로 나뉘어 있었는데, 이탈리아 축구 연합(CCI)와 FIGC이 각각 자체 리그를 운영했다. 두 대회는 타협점을 찾지 못해 대회 일정을 정상적으로 조율하지 못했다. 1922년에 열린 첫 대회의 우승 구단은 바도였다.[20] 1926-27 시즌에 진행된 두 번째 시즌은 32강 진행 도중 취소되었다. 세 번째 시즌은 1935-36 시즌이 되어서야 진행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42-43 시즌 이후 중단되었다가 1958년에 재개되어 매년 혹은 매 시즌마다 진행되고 있다.[20]

1922년 코파 이탈리아 원년 우승을 거둔 바도 선수들


코파 이탈리아는 1921년 이탈리아 축구 구조를 뒤엎는 격동기 속에서 구상됐다. 당시에 주요 구단들과 이탈리아 축구 연맹 간의 불화로 이탈리아 축구 연합(CCI)이 주관하는 독립 리그로 주요 구단이 탈퇴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축구 연맹은 토너먼트 대회를 구상했고 1921-22시즌 대회를 구체화했다. 축구 리그와 병행되는 별개의 대회를 제안하여 1922년 4월 2일 첫 국내 컵대회의 첫 경기가 열렸다. 그러나 전력이 약하고 알려지지 않은 구단들의 참가는 이미 코파 이탈리아 첫 대회에 큰 악재로 예상됐었으며, 코파 이탈리아에 대한 대중의 관심도는 거의 없었다. 패자부활전과 참가 철회와 같은 복잡한 일들이 있는 가운데, 약팀이며 비인기 구단인 바도는 결승전에서 우디네세를 연장전에서 이기고 우승했다. 새 대회는 1922년 여름의 콜롬보 타협으로 인한 이탈리아 축구 개편과 더불어 개최되지 못했다.

4년 후, 1926-27시즌에 대회를 재개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으나, 일정 문제로 인해 시즌 진행에 차질을 입어 중단되었다. 1920~30년대에는 코파 CONI, 코파 아르피나티, 코파 델리탈리아 센트랄레와 같은 작은 대회들이 이탈리아 전역에 난립했으나, 코파 이탈리아같이 전국을 아우르는 대회는 없었다.

1936-37 시즌 우승 트로피와 함께 기념촬영을 하는 제노아 선수들


1937-38 시즌 코파 이탈리아 첫 우승을 거둔 유벤투스


1935년 이탈리아 축구 최상위 리그인 세리에 A의 구단 수가 16개 구단으로 확정되고 전국적 리그로 개편되어 어느 정도 자리를 잡은 시기였다. 이러한 상황은 코파 이탈리아를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대회로 재탄생할 수 있게 도와주었다. 대회 규정은 잉글랜드 FA컵과 같이 추첨을 통해 경기 장소를 정하고 모든 대진이 결정되는 방식을 도입했으며, 정규 시간과 연장전 후에도 승부가 결정나지 않으면 원정 구단의 구장에서 재경기를 치렀다.

모든 세리에 A, 세리에 B, 세리에 C 구단들이 참가했으며, 최상위 리그의 구단들은 본선으로 직행했고, 나머지 구단들은 몇 차례의 예선 라운드를 거쳤다. 본선은 총 5단계로 16강전으로 시작된다. 결승전은 제3의 구장을 매년 바꿔가면서 여는 것으로 계획되어 시작되었고, 이탈리아의 수도인 로마를 고정 개최지로 하는 방안으로 변경되었으나, 곧 두 결승전 진출 구단의 경기장에서 안방, 원정으로 번갈아 두 번의 경기를 여는 것으로 바뀌었다. 우승 구단은 이듬해 중앙 유럽 컵의 진출 자격을 획득했다.

다시 열린 첫 대회의 우승 구단은 토리노다. 1936년 제노바루이지 페라리스에서 알레산드리아를 꺾고 우승했다. 토리노는 당시 제노아, 피오렌티나, 암브로시아나-인테르나치오날레, 유벤투스와 더불어 강팀 중 하나였다. 유벤투스는 1937-38시즌에서 우승을 했는데, 당시 결승전은 결승전으로서는 최초의 더비경기로서 토리노의 양팀이 맞붙은 경기였다.

2. 3. 1930년대

1940-41 시즌 베네치아는 에치오 로이크와 발렌티노 마촐라 같은 뛰어난 선수들을 바탕으로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코파 이탈리아 우승을 차지했다.[2] 이 두 선수는 이듬해 ''위대한 토리노'' (Grande Torinoit)에 합류하여 1942-43 시즌 우승과 리그 우승을 이끌며 토리노가 이탈리아 최초로 2관왕을 달성하는 데 기여했다. 1941-42 시즌에는 유벤투스가 결승전에서 밀란을 꺾고 최초로 코파 이탈리아 2회 우승을 달성한 구단이 되었다.

1940-41시즌 우승을 이룬 베네치아


토리노는 1942-43시즌에 리그 우승을 하고, 같은 해 코파 이탈리아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이로서 최초로 '2관왕'을 기록한 이탈리아 구단이 된다.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로 코파 이탈리아 대회는 중단되었다. 종전 후 세리에 A가 20개 구단으로 확장되면서, 코파 이탈리아는 위상이 '작다'고 여겨져 한동안 열리지 않았다.

2. 4. 1940년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42-43 시즌 이후 중단되었던 코파 이탈리아는 1958년에 재개되었다.[2] 1958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실패에 따라, 1958-59 시즌이 몇 달 앞당겨 개막했다. 1958 시즌에 라치오가 우승하면서 코파 이탈리아 우승팀에게 주어지는 "삼색 모표"를 최초로 사용했으며, 이는 리그 사무국에서 공식적으로 채택했다. 1959-60 시즌에는 유벤투스가 우승하여 최초로 ''2관왕''을 달성했고, 현재 사용되는 이탈리아 국기를 상징하는 삼색 에나멜 장식이 있는 황금 트로피가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2. 5. 1950년대

1960-61 시즌에 컵위너스컵이 시작되면서 코파 이탈리아가 부활했다. 모든 대진과 경기는 토너먼트전으로 진행되어 전적의 우위를 점한 구단이 상위 라운드에 진입하게 하여 대회가 최대한 신속하고 번거로움이 없게 설계됐다.

1960년대에 관중들이 코파 이탈리아에 큰 관심을 두지 않던 와중에 로마, 밀란과 같은 주요 구단이 코파 이탈리아 우승 구단에 처음으로 이름을 남겼으며, 1962-63 시즌에는 아탈란타가 뜻밖의 우승을 거두기도 했다.[2] 1961-62 시즌의 나폴리 우승은 바도 구단의 우승 이후 두 번째이며, 현재까지 최상위 리그에서 뛰지 않는 구단이 우승한 마지막 우승으로 기록되었다.[2]

세리에 B 소속이었으나 1961-62 시즌에 우승한 나폴리


1962-63 시즌 깜짝 우승을 거둔 아탈란타


1967-68 시즌은 주목할 만한 시즌이었다. 대회 창설 시즌부터 그 전 시즌까지 행해졌던 최후의 두 구단이 승부를 짓는 결승전 방식을 채택하지 않은 시즌이다. "결선 단계"가 도입되었는데, 8강까지 진행하여 남은 최후의 4구단을 이탈리아식 리그전을 벌여 네 구단 모두 서로 2번씩 경기를 치르고 최종 승점이 높은 구단이 우승컵을 들어올리게 되었다.

2. 6. 1960년대

FIGC는 더 많은 관중을 경기장으로 유도하기 위해 이탈리아 축구 구단에 리그만큼은 아니더라도 많은 관심을 가져줄 것을 종용했다. 연맹은 세리에 A 참가 구단을 16개로 줄이며 연간 일정에 생기는 공백을 메우기 위해 대회 구성을 점차적으로 토너먼트가 아닌 조별 "1·2 라운드-리그전"으로 변경했다.

기존의 결승전 방식을 대신하여 최후의 4개 구단이 한 개의 조를 이뤄 리그전을 통해 우승 구단을 가리는 방식으로 변경했다. 그러나 우승 구단 결정 과정에서 "페이소스" 결여 문제가 발생하여 연맹은 기존의 결승전 방식으로 복귀했다. 이러한 재변경에는 1970-71 시즌의 사건이 큰 영향을 미쳤다. 결선 리그의 모든 경기가 종료된 후 두 구단이 동일 승점으로 마감되어, 트로피 수여를 위해 중립 경기장에서 플레이오프전을 치러야 했다. 설상가상으로 (코파 이탈리아 역사상 최초로) 승부차기까지 가서 승부가 결정되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기존의 결승전 방식으로 복귀하라는 요청이 쇄도했고, 연맹은 바로 다음 시즌인 1971-72 시즌부터 기존 결승전 방식을 즉시 적용했다.

2. 7. 1970년대

이탈리아 구단들이 유럽대항전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면서 코파 이탈리아 대회 방식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에 따라 1979년에 원정 다득점 규칙이 처음으로 도입되어 준결승전과 8강전에 적용되었다. 2년 뒤에는 결승전에도 원정 다득점 규칙이 적용되었고, 세리에 C1 구단이 본 대회에 다시 참가하게 된 1982-83 시즌부터는 결선 전 경기에 적용되었다.[21]

2. 8. 1980년대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1980년대에 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2. 9. 1990년대

1999년 컵위너스컵이 폐지되고 챔피언스리그 참가권이 확대되면서 코파 이탈리아의 존재 명분이 사라졌다. UEFA컵 진출은 리그 성적을 통해 보다 쉽게 달성할 수 있었기 때문에, 컵위너스컵 진출권이 UEFA컵 진출권으로 대체된 것은 대회 흥행에 도움이 되지 못했다.

코파 이탈리아의 인기가 식어버리면서 대회 구성 또한 축소되었다. 참가 구단은 세리에 A, 세리에 B 모든 구단과 세리에 C1의 상위 10개 구단으로 줄어들었다. 시즌 시작 기준으로 세리에 A의 하위 2개 구단과 하위 리그 구단이 각 조마다 4구단씩 단판 리그전을 펼치는 1라운드를 거치고, 각 조 1등이 다음 라운드로 진출했다. 2라운드에서는 1라운드에서 진출한 8개 구단과 세리에 A의 9~16위 구단이 2차전에 걸쳐 승부를 가져 결승 라운드로 진출했다.

2. 10. 2000년대

2010년대 전반기에는 나폴리가 1986-87 시즌 이후 25년 만인 2011-12 시즌에 우승했고,[24] 유벤투스가 1994-95 시즌 이후 20년 만인 2014-15 시즌에 우승하며 최초로 두 자리 수 우승을 달성했다.[25] 유벤투스는 이후 코파 이탈리아 4연패의 신기록을 세웠다.[26] 2012-13 시즌 결승전에서는 사상 최초로 로마 더비가 열렸고, 라치오가 우승했다.[27]

2. 11. 2010년대

2010년대에는 이탈리아 통신 회사 TIM이 대회 스폰서를 맡아 2018-19 시즌까지 '''TIM컵'''(TIM CUP)으로 개최되었다. 2019-20 시즌 결승전은 코카-콜라가 대회 스폰서가 되어 '''코파 이탈리아 코카-콜라'''(COPPA ITALIA Coca-Cola)[15]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20-21 시즌 결승전은 다시 TIM이 스폰서가 되어 '''TIMVISION 컵'''[16]으로 개최되었고, 2021-22 시즌 2회전부터는 이탈리아 철도 회사 트레니탈리아가 운영하는 고속열차 "프레차로사"가 후원하여 '''코파 이탈리아 프레차로사'''(COPPA ITALIA FRECCIAROSSA)가 되었다.[17]

3. 대회 구성

1936~43년 동안 사용된 트로피


우승팀 패치, 코카르다


2016년 유벤투스에서 코카르다를 착용한 잔루이지 부폰. 세리에 A 우승팀이 착용하는 스쿠데토(Scudetto)도 보인다.


코파 이탈리아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준결승전을 제외한 모든 경기는 단판 승부로 진행된다. 준결승전은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된다. 경기 결과에 따라 연장전, 승부차기를 통해 승리 팀을 가린다. 우승팀에게는 UEFA 유로파리그 출전권이 주어지지만, 이미 UEFA 챔피언스리그 출전권을 확보했거나 UEFA 대회 참가 자격이 없는 경우에는 리그 다음 순위 팀에게 출전권이 돌아간다.

대회는 총 7라운드로 구성되며, 예선 라운드를 거쳐 세리에 A, 세리에 B, 세리에 C 팀들이 순차적으로 참가한다. 2007-08 시즌부터 결승전은 스타디오 올림피코에서 단판 승부로 진행된다.[3]

단계라운드잔여 클럽 수참가 클럽 수전 라운드 진출팀이번 라운드 참가팀이 라운드부터 참가하는 팀
1차
단계
예선 라운드448없음8세리에 B 4팀과 세리에 C 4팀 (37-44위)
1라운드4032428세리에 A 12팀과 세리에 B 16팀 (9-36위)
2라운드241616없음
2차
단계
16강161688세리에 A 8팀 (1-8위)
8강884없음
준결승442
결승221



1922년 첫 대회 이후, 몇 차례 중단을 거쳐 매 시즌 개최되고 있다. 참가 팀은 변경되기도 하지만, 세리에 A 20팀, 세리에 B 22팀, 세리에 C 27팀, 세리에 D 9팀 등 총 78팀이 참가한 적도 있다. 2021-22 시즌부터는 세리에 A와 세리에 B의 40개 클럽과 세리에 C의 4개 클럽을 합쳐 총 44개 팀으로 축소되었다.[18]

대회 명칭은 스폰서에 따라 변경되어 왔는데, 2018-19 시즌까지는 TIM이 스폰서를 맡아 '''TIM컵'''으로 불렸다. 2019-20 시즌 결승전은 코카-콜라가 스폰서가 되어 '''코파 이탈리아 코카-콜라'''[15], 2020-21 시즌 결승전은 다시 TIM이 스폰서가 되어 '''TIMVISION 컵'''[16]으로 개최되었다. 2021-22 시즌 2회전부터는 트레니탈리아의 고속열차 "프레차로사"가 후원하여 '''코파 이탈리아 프레차로사'''가 되었다.[17]

3. 1. 트로피

코파 이탈리아 우승팀은 다음 시즌 유니폼 가슴 중앙에 이탈리아 삼색 모표(코카르다)를 부착할 수 있다.[31] 이는 세리에 A 우승팀이 스쿠데토를 부착하는 것과 같다.

삼색 모표(Coccarda Tricolore)가 부착된 유니폼을 입은 잔니 리베라


코카르다는 1958-59 시즌 라치오 유니폼에 처음 부착되었다. 초기 모표는 중심원이 녹색, 바깥쪽 원이 백색, 가장 바깥쪽 원이 적색이었으며, 1984-85 시즌까지 사용되었다. 1985-86 시즌부터는 삼프도리아 유니폼에 녹색, 백색, 적색 순서로 배열을 바꾼 모표가 사용되었다. 중심이 녹색인 모표는 1988-89 시즌 삼프도리아 유니폼과 1990-91 시즌 유벤투스 첫 경기에 일시적으로 사용되었고, 2006-07 시즌부터 초기 형태로 돌아갔다.

모표 부착 개념이 생기기 전, 전간기 코파 이탈리아 우승팀도 가슴에 우승 상징 표식을 부착했다. 그러나 1958년 모표와 달리, 이탈리아 왕국의 파시스트 정권속간이 중앙에 추가된 방패를 1935-36 시즌부터 1942-43 시즌까지 코파 이탈리아 우승팀에 수여했다. 당시 세리에 A 우승 상징은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푸른색 테두리로 감싸진 사보이아가 문장으로 대체되었다.

4. 우승 기록

코파 이탈리아는 이탈리아 축구 연맹(FIGC)이 주관하는 축구 대회로, 1922년에 처음 시작되었다.[20] 대회 초창기에는 이탈리아 리그가 둘로 나뉘어 운영되는 등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으나, 1935-36 시즌부터 안정적으로 개최되기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중단되었다가 1958년에 재개된 이후 현재까지 매년 열리고 있다.[20]

1960-61시즌 우승으로 구단의 두 번째 코파 이탈리아 트로피를 보여주는 피오렌티나 선수들


2005-06 시즌에 5번째 우승을 거둔 인테르나치오날레


2008-09 시즌에 5번째 트로피를 들어올린 라치오


유벤투스는 15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로마가 9회로 그 뒤를 따르고 있다. 유벤투스는 결승전에 22회 진출하여 최다 결승 진출 기록도 가지고 있다.[20] 코파 이탈리아 우승팀은 다음 시즌 유니폼에 이탈리아의 모표(Coccarda Italiana)를 부착할 수 있으며, 유로파리그 조별 리그 진출권과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참가 자격을 얻는다.

4. 1. 연도별 우승 구단



코파 이탈리아 트로피를 들어올린 구단은 다음 시즌 유로파리그 조별리그 참가권을 얻는다. 만약 우승 구단이 이미 챔피언스리그 참가 자격이 됐을 경우에는, 원래 콘퍼런스리그의 참가 자격을 갖춘 구단에게 유로파리그 참가권이 주어진다.[28]

단계라운드참가 구단 수경기를 치르는 구단 수이전 라운드에서 진출한 구단 수신규 합류 구단 수합류하는 구단들
1단계예선전448없음8세리에 B 4개 구단 및 세리에 C 4개 구단(37위~44위)
1라운드4032428세리에 A 12개 구단 및 세리에 B 16개 구단(9위~36위)
2라운드241616없음
2단계16강전161688세리에 A 8개 구단(1위~8위)
8강전888없음
준결승전444없음
결승전222없음



결승전이 단일 경기로 바뀐 뒤, 통상 유명 아티스트가 킥오프 전 이탈리아 국가를 부른다.

구단명우승 횟수준우승 횟수우승 시즌[32]준우승 시즌
유벤투스1571938, 1942, 1959, 1960, 1965, 1979, 1983, 1990, 1995, 2015, 2016, 2017, 2018, 2021, 20241973, 1992, 2002, 2004, 2012, 2020, 2022
로마981964, 1969, 1980, 1981, 1984, 1986, 1991, 2007, 20081937, 1941, 1993, 2003, 2005, 2006, 2010, 2013
인테르나치오날레961939, 1978, 1982, 2005, 2006, 2010, 2011, 2022, 20231959, 1965, 1977, 2000, 2007, 2008
라치오731958, 1998, 2000, 2004, 2009, 2013, 20191961, 2015, 2017
피오렌티나651940, 1961, 1966, 1975, 1996, 20011958, 1960, 1999, 2014, 2023
나폴리641962, 1976, 1987, 2012, 2014, 20201972, 1978, 1989, 1997
밀란591967, 1972, 1973, 1977, 20031942, 1968, 1971, 1975, 1985, 1990, 1998, 2016, 2018
토리노581936, 1943, 1968, 1971, 19931938, 1963, 1964, 1970, 1980, 1981, 1982, 1988
삼프도리아431985, 1988, 1989, 19941986, 1991, 2009
파르마321992, 1999, 20021995, 2001
볼로냐201970, 1974-
아탈란타1519631987, 1996, 2019, 2021, 2024
제노아1119371940
베네치아1119411943
바도101922-
비첸차101997-
엘라스 베로나03-1976, 1983, 1984
팔레르모03-1974, 1979, 2011
우디네세01-1922
알레산드리아01-1936
노바라01-1939
SPAL01-1962
카탄차로01-1966
파도바01-1967
칼리아리01-1969
안코나01-1994


4. 2. 구단별 우승 횟수

구단우승준우승우승 연도
유벤투스1571938, 1942, 1959, 1960, 1965, 1979, 1983, 1990, 1995, 2015, 2016, 2017, 2018, 2021, 2024
로마981964, 1969, 1980, 1981, 1984, 1986, 1991, 2007, 2008
인테르나치오날레961939, 1978, 1982, 2005, 2006, 2010, 2011, 2022, 2023
라치오731958, 1998, 2000, 2004, 2009, 2013, 2019
피오렌티나651940, 1961, 1966, 1975, 1996, 2001
나폴리641962, 1976, 1987, 2012, 2014, 2020
토리노581936, 1943, 1968, 1971, 1993
밀란591967, 1972, 1973, 1977, 2003
삼프도리아431985, 1988, 1989, 1994
파르마321992, 1999, 2002
볼로냐201970, 1974
바도101922
제노아111937
베네치아111941
아탈란타151963
비첸차101997
우디네세01
알레산드리아01
노바라01
스팔01
카탄차로01
파도바01
칼리아리01
팔레르모03
헬라스 베로나03
안코나01



유벤투스는 15회로 코파 이탈리아 최다 우승 구단이며, 로마가 9회로 그 뒤를 잇고 있다. 유벤투스는 또한 22회 결승에 진출하여 최다 결승 진출 기록도 보유하고 있으며, 로마가 17회로 그 뒤를 잇는다.[20] 코파 이탈리아 우승 구단은 다음 해 유니폼에 이탈리아의 모표(Coccarda Italiana)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우승 구단은 유로파리그 조별 리그 진출 자격을 얻으며, 다음 시즌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에도 참가할 수 있다.

5. 기록

코파 이탈리아 구단별 우승 횟수
순위구단우승준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1유벤투스1461937-38, 1941-42, 1958-59, 1959-60, 1964-65, 1978-79, 1982-83, 1989-90, 1994-95,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20-211972-73, 1991-92, 2001-02, 2003-04, 2011-12, 2019-20
2로마981963-64, 1968-69, 1979-80, 1980-81, 1983-84, 1985-86, 1990-91, 2006-07, 2007-081936-37, 1940-41, 1992-93, 2002-03, 2004-05, 2005-06, 2009-10, 2012-13
2인테르나치오날레961938-39, 1977-78, 1981-82, 2004-05, 2005-06, 2009-10, 2010-11, 2021-22, 2022-231958-59, 1964-65, 1976-77, 1999-00, 2006-07, 2007-08
4라치오731958, 1997-98, 1999-00, 2003-04, 2008-09, 2012-13, 2018-191960-61, 2014-15, 2016-17
5나폴리641961-62, 1975-76, 1986-87, 2011-12, 2013-14, 2019-201971-72, 1977-78, 1988-89, 1996-97
5피오렌티나641939-40, 1960-61, 1965-66, 1974-75, 1995-96, 2000-011958, 1958-59, 1998-99, 2013-14
7밀란591966-67, 1971-72, 1972-73, 1976-77, 2002-031941-42, 1967-68, 1970-71, 1974-75, 1984-85, 1989-90, 1997-98, 2015-16, 2017-18
7토리노581935-36, 1942-43, 1967-68, 1970-71, 1992-931937-38, 1962-63, 1963-64, 1979-80, 1980-81, 1981-82, 1987-88, 1993-94
9삼프도리아431984-85, 1987-88, 1988-89, 1993-941985-86, 1990-91, 2008-09
10파르마321991-92, 1998-99, 2001-021994-95, 2000-01
11볼로냐201969-70, 1973-74-
12아탈란타131962-631986-87, 1995-96, 2018-19
13비첸차101996-97-
베네치아101940-41-
바도101922-


  • 최다 연속 우승: 유벤투스 (2014-15 시즌부터 2017-18 시즌까지 4연패)[26]

  • 최상위 리그 소속이 아닌 구단의 우승:
  • 나폴리 (1961-62 시즌)
  • 바도 (1922 시즌)

  • 최다 연속 동일 대진 결승전: 인테르나치오날레 - 로마 (2004-05, 2005-06, 2006-07, 2007-08 시즌, 인테르 2회 우승, 로마 2회 우승)


{| class="wikitable"

|-

! colspan="2" | 코파 이탈리아 최다 득점 선수 (상위 10명)

|-

|

순위국적성명득점출장득점율출장 기간소속 구단
1style="text-align:center;" |알레산드로 알토벨리56940.601974~1990브레시아, 인테르, 유벤투스
2style="text-align:center;" |로베르토 보닌세냐48910.531963~1980바레세, 인테르, 유벤투스, 엘라스 베로나
3style="text-align:center;" |주세페 사볼디47980.481965~1980, 1982~1983아탈란타, 볼로냐, 나폴리
4style="text-align:center;" |잔루카 비알리43890.481981~1996크레모네세, 삼프도리아, 유벤투스
5style="text-align:center;" |브루노 조르다노38770.491975~1992라치오, 나폴리, 아스콜리, 볼로냐
5style="text-align:center;" |파올로 풀리치38920.411967~1985토리노, 피오렌티나
7style="text-align:center;" |피에트로 아나스타시36790.461966~1981바레세, 유벤투스, 인테르
7style="text-align:center;" |로베르토 바조36840.431982~2004비첸차, 피오렌티나, 유벤투스, 밀란, 볼로냐, 인테르
9style="text-align:center;" |로베르토 만치니331200.431981~2000삼프도리아, 라치오
10style="text-align:center;" |지지 리바32430.741963~1976칼리아리



|-

| colspan="2"| 코파 이탈리아 최다 출장 선수 (상위 10명)

|-

|

순위국적성명출장득점시즌출장 기간소속 구단
1style="text-align:center;" |로베르토 만치니12033191981~2000볼로냐, 삼프도리아, 라치오
2style="text-align:center;" |주세페 베르고미1195201979~1999인테르
3style="text-align:center;" |피에트로 비에르코보드11611241976~2000코모, 피오렌티나, 로마, 삼프도리아, 유벤투스, 밀란, 피아첸차
4style="text-align:center;" |프란코 카우시오11319181971~1986레지나, 팔레르모, 유벤투스, 우디네세, 인테르, 레체, 트리에스티나
5style="text-align:center;" |조반니 갈리1120191977~1996피오렌티나, 밀란, 나폴리, 토리노, 파르마
6style="text-align:center;" |디노 초프1100221961~1983우디네세, 만토바, 나폴리, 유벤투스
7style="text-align:center;" |이바노 보르돈1031181970~1989인테르, 삼프도리아, 브레시아
8style="text-align:center;" |파우스토 살사노1028171983~1998파르마, 삼프도리아, 로마
9style="text-align:center;" |루이지 다노바1010171970~1987코모, 체세나, 토리노, 레체
9style="text-align:center;" |가에타노 시레아1010171972~1988아탈란타, 유벤투스



|-

| colspan="2"| 코파 이탈리아 최다 우승 선수

|-

|

순위선수소속 구단우승 횟수우승 연도
1로베르토 만치니삼프도리아, 라치오61985, 1988, 1989, 1994, 1998, 2000
잔루이지 부폰파르마, 유벤투스61999, 2015, 2016, 2017, 2018, 2021
3로메오 베네티밀란, 유벤투스, 로마51968, 1972, 1973, 1977, 1980
브루노 콘티로마51980, 1981, 1984, 1986, 1991
조르조 키엘리니유벤투스52015, 2016, 2017, 2018, 2021
주세페 파발리라치오, 인테르51998, 2000, 2004, 2005, 2006
슈테판 리히트슈타이너라치오, 유벤투스52009, 2015, 2016, 2017, 2018
8고란 판데프라치오, 인테르, 나폴리52004, 2009, 2010, 2011, 2012
파우스토 살사노삼프도리아, 로마51985, 1988, 1989, 1991, 1994
데얀 스탄코비치라치오, 인테르52000, 2005, 2006, 2010, 2011
프란체스코 톨도피오렌티나, 인테르51996, 2001, 2005, 2006, 2010



|}


  • 1922년 대회는 더 큰 팀들이 1921-22 프리마 디비지오네에 참가하기 위해 분리 리그를 결성한 후 FIGC에 남아 있던 소규모 클럽들만 참가했다.
  • 77번의 대회가 열렸지만 76개의 트로피만 수여되었다. 1926-27 시즌은 32강전에서 중단되었다.[4]
  • 1968년부터 1971년까지, FIGC는 준결승전과 결승전 대신 최종 조별 리그를 도입했다. 통계적 형평성을 위해, 이 기간의 조별 리그 우승팀과 준우승팀만 결승 진출팀으로 계산한다.
  • 잔루이지 부폰로베르토 만치니는 코파 이탈리아에서 가장 많은 우승 (6회)를 차지한 선수들이다.[5]

5. 1. 구단 기록

유벤투스는 코파 이탈리아 최다 우승 구단으로, 총 14번 우승을 차지했다. 로마가 9번 우승으로 그 뒤를 잇고 있다. 유벤투스는 결승전에 20번 진출하여 가장 많은 결승전 진출 기록도 보유하고 있으며, 로마는 17번 결승전에 진출했다. 코파 이탈리아 우승 구단은 다음 해 유니폼에 모표(코카르다)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우승 구단은 UEFA 유로파리그 조별 리그 진출권과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참가 자격을 얻는다.

코파 이탈리아 구단별 우승 횟수
순위구단우승준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1유벤투스1461937-38, 1941-42, 1958-59, 1959-60, 1964-65, 1978-79, 1982-83, 1989-90, 1994-95,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20-211972-73, 1991-92, 2001-02, 2003-04, 2011-12, 2019-20
2로마981963-64, 1968-69, 1979-80, 1980-81, 1983-84, 1985-86, 1990-91, 2006-07, 2007-081936-37, 1940-41, 1992-93, 2002-03, 2004-05, 2005-06, 2009-10, 2012-13
2인테르나치오날레961938-39, 1977-78, 1981-82, 2004-05, 2005-06, 2009-10, 2010-11, 2021-22, 2022-231958-59, 1964-65, 1976-77, 1999-00, 2006-07, 2007-08
4라치오731958, 1997-98, 1999-00, 2003-04, 2008-09, 2012-13, 2018-191960-61, 2014-15, 2016-17
5나폴리641961-62, 1975-76, 1986-87, 2011-12, 2013-14, 2019-201971-72, 1977-78, 1988-89, 1996-97
5피오렌티나641939-40, 1960-61, 1965-66, 1974-75, 1995-96, 2000-011958, 1958-59, 1998-99, 2013-14
7밀란591966-67, 1971-72, 1972-73, 1976-77, 2002-031941-42, 1967-68, 1970-71, 1974-75, 1984-85, 1989-90, 1997-98, 2015-16, 2017-18
7토리노581935-36, 1942-43, 1967-68, 1970-71, 1992-931937-38, 1962-63, 1963-64, 1979-80, 1980-81, 1981-82, 1987-88, 1993-94
9삼프도리아431984-85, 1987-88, 1988-89, 1993-941985-86, 1990-91, 2008-09
10파르마321991-92, 1998-99, 2001-021994-95, 2000-01
11볼로냐201969-70, 1973-74-
12아탈란타131962-631986-87, 1995-96, 2018-19
13비첸차101996-97-
베네치아101940-41-
바도101922-


  • 트레블 (세리에 A, 코파 이탈리아, UEFA 챔피언스리그 동시 우승):
  • 인테르나치오날레: 1회 (2009-10)

  • 최다 연속 우승: 유벤투스 (2014-15 시즌부터 2017-18 시즌까지 4연패)[26]

  • 최상위 리그 소속이 아닌 구단의 우승:
  • 나폴리 (1961-62 시즌)
  • 바도 (1922 시즌)

  • 최다 연속 동일 대진 결승전: 인테르나치오날레 - 로마 (2004-05, 2005-06, 2006-07, 2007-08 시즌, 인테르 2회 우승, 로마 2회 우승)

5. 2. 선수 기록

다음은 코파 이탈리아의 선수 기록이다.

{| class="wikitable"

|-

! colspan="2" | 상위 10명 최다 득점 선수

|-

|

순위국적성명득점출장득점율출장 기간소속 구단
1style="text-align:center;" |알레산드로 알토벨리56940.601974~1990브레시아, 인테르, 유벤투스
2style="text-align:center;" |로베르토 보닌세냐48910.531963~1980바레세, 인테르, 유벤투스, 엘라스 베로나
3style="text-align:center;" |주세페 사볼디47980.481965~1980, 1982~1983아탈란타, 볼로냐, 나폴리
4style="text-align:center;" |잔루카 비알리43890.481981~1996크레모네세, 삼프도리아, 유벤투스
5style="text-align:center;" |브루노 조르다노38770.491975~1992라치오, 나폴리, 아스콜리, 볼로냐
5style="text-align:center;" |파올로 풀리치38920.411967~1985토리노, 피오렌티나
7style="text-align:center;" |피에트로 아나스타시36790.461966~1981바레세, 유벤투스, 인테르
7style="text-align:center;" |로베르토 바조36840.431982~2004비첸차, 피오렌티나, 유벤투스, 밀란, 볼로냐, 인테르
9style="text-align:center;" |로베르토 만치니331200.431981~2000삼프도리아, 라치오
10style="text-align:center;" |지지 리바32430.741963~1976칼리아리



|-

| colspan="2"| 상위 10명 최다 출장 선수

|-

|

순위국적성명출장득점시즌출장 기간소속 구단
1style="text-align:center;" |로베르토 만치니12033191981~2000볼로냐, 삼프도리아, 라치오
2style="text-align:center;" |주세페 베르고미1195201979~1999인테르
3style="text-align:center;" |피에트로 비에르코보드11611241976~2000코모, 피오렌티나, 로마, 삼프도리아, 유벤투스, 밀란, 피아첸차
4style="text-align:center;" |프란코 카우시오11319181971~1986레지나, 팔레르모, 유벤투스, 우디네세, 인테르, 레체, 트리에스티나
5style="text-align:center;" |조반니 갈리1120191977~1996피오렌티나, 밀란, 나폴리, 토리노, 파르마
6style="text-align:center;" |디노 초프1100221961~1983우디네세, 만토바, 나폴리, 유벤투스
7style="text-align:center;" |이바노 보르돈1031181970~1989인테르, 삼프도리아, 브레시아
8style="text-align:center;" |파우스토 살사노1028171983~1998파르마, 삼프도리아, 로마
9style="text-align:center;" |루이지 다노바1010171970~1987코모, 체세나, 토리노, 레체
9style="text-align:center;" |가에타노 시레아1010171972~1988아탈란타, 유벤투스



|-

| colspan="2"| 최다 우승 선수

|-

|

순위선수소속 구단우승 횟수우승 연도
1로베르토 만치니삼프도리아, 라치오61985, 1988, 1989, 1994, 1998, 2000
잔루이지 부폰파르마, 유벤투스61999, 2015, 2016, 2017, 2018, 2021
3로메오 베네티밀란, 유벤투스, 로마51968, 1972, 1973, 1977, 1980
브루노 콘티로마51980, 1981, 1984, 1986, 1991
조르조 키엘리니유벤투스52015, 2016, 2017, 2018, 2021
주세페 파발리라치오, 인테르51998, 2000, 2004, 2005, 2006
슈테판 리히트슈타이너라치오, 유벤투스52009, 2015, 2016, 2017, 2018
8고란 판데프라치오, 인테르, 나폴리52004, 2009, 2010, 2011, 2012
파우스토 살사노삼프도리아, 로마51985, 1988, 1989, 1991, 1994
데얀 스탄코비치라치오, 인테르52000, 2005, 2006, 2010, 2011
프란체스코 톨도피오렌티나, 인테르51996, 2001, 2005, 2006, 2010



|}


  • 참고: 1922년 대회는 더 큰 팀들이 1921-22 프리마 디비지오네에 참가하기 위해 분리 리그를 결성한 후 FIGC에 남아 있던 소규모 클럽들만 참가했다.
  • 77번의 대회가 열렸지만 76개의 트로피만 수여되었다. 1926-27 시즌은 32강전에서 중단되었다.[4]
  • 1968년부터 1971년까지, FIGC는 준결승전과 결승전 대신 최종 조별 리그를 도입했다. 통계적 형평성을 위해, 이 기간의 조별 리그 우승팀과 준우승팀만 결승 진출팀으로 계산한다.
  • 잔루이지 부폰로베르토 만치니는 코파 이탈리아에서 가장 많은 우승 (6회)를 차지한 선수들이다.[5]

참조

[1] 웹사이트 Coppa Italia: Albo d'oro classifica coppe vinte dal 1922 ad oggi https://www.drogbast[...] 2021-11-01
[2] 웹사이트 Coppa Italia: statistiche record curiosità del torneo – Drogbaster https://www.drogbast[...] 2021-11-01
[3] 웹사이트 TIM Cup – Sede di Gara Finale 2007/2008 http://www.lega-calc[...] Lega Nazionale Professionisti 2007-12-06
[4] 웹사이트 Top Performances Throughout History In The Coppa Italia Forza Italian Football https://forzaitalian[...] 2021-11-01
[5] 웹사이트 Buffon wins Coppa with Chiesa Senior and Junior https://www.football[...] Football Italia 2021-05-19
[6] 웹사이트 Home https://www.tvplay.i[...] 2024-05-09
[7] 웹사이트 Coppa Italia: diritti tv in esclusiva a Mediaset – Sportmediaset https://www.sportmed[...] 2021-07-13
[8] 뉴스 Dazn will broadcast the Coppa Italia in Spain and Germany https://www.italy24n[...] 2021-05-12
[9] 웹사이트 Outro Canal: Cazé TV entra no futebol italiano e compra direitos de jogos da Copa da Itália https://f5.folha.uol[...] 2024-12-04
[10] 웹사이트 Nsports adquire os direitos de transmissão da Copa Itália e Supercopa da Itália https://www.mktespor[...] 2024-12-04
[11] 뉴스 Dazn will broadcast the Coppa Italia in Spain and Germany https://www.italy24n[...] 2021-05-12
[12] 뉴스 Abu Dhabi Sports and L'Equipe land Coppa Italia rights https://www.sportcal[...] 2022-02-25
[13] 웹사이트 COMUNICAZIONE DIRITTI AUDIOVISIVI INTERNAZIONALI STAGIONI SPORTIVE 2021/22, 2022/23, 2023/24 https://www.legaseri[...] 2021-07-31
[14] 뉴스 Serie A is coming to Paramount+: CBS Sports acquires exclusive rights for Italian soccer beginning this summer https://www.cbssport[...] 2021-07-18
[15] Instagram Save the date 📝 17 June 2020. https://www.instagra[...]
[16] 웹사이트 TIM e Lega Serie A: accordo per la sponsorizzazione della finale di Coppa Italia "TIMVISION Cup" https://www.legaseri[...] Lega Nazionale Professionisti Serie A 2021-05-18
[17] 웹사이트 Frecciarossa boards Serie A for Coppa Italia and Supercoppa ride https://www.insidewo[...] 2021-11-23
[18] 웹사이트 4強決定のコッパ・イタリア。不満も噴出のフォーマット変更は成功なのか https://www.football[...] footballista 2022-02-27
[19] 웹인용 Coppa Italia: Albo d'oro classifica coppe vinte dal 1922 ad oggi https://www.drogbast[...] 2021-11-01
[20] 웹인용 Coppa Italia: statistiche record curiosità del torneo – Drogbaster https://www.drogbast[...] 2021-11-01
[21] 웹인용 Supercoppa Italiana, Berlusconi e Mantovani "picciotti onorari" http://www.tuttomerc[...] 2019-08-08
[22] 웹인용 Editoriale - Canta Napoli! Perchè una Coppa Italia va celebrata come una Champions https://www.goal.com[...] 2012-05-22
[23] 웹인용 Roma senza gioco e senza grinta Coppa Italia all'Inter dopo 23 anni http://www.repubblic[...] 2015-06-15
[24] 웹인용 La Coppa Italia è del Napoli. Battuta la Juve in finale http://www.corriered[...] 2012-03-20
[25] 웹인용 Juve infinita, vince la 10ª Coppa Italia: Matri piega la Lazio ai supplementari http://www.gazzetta.[...] 2015-05-20
[26] 웹인용 Juventus-Milan 4-0, i bianconeri conquistano la quarta Coppa Italia consecutiva: notte da incubo per Donnarumma http://www.repubblic[...] 2018-05-09
[27] 웹인용 Coppa Italia, Roma-Lazio 0-1: Lulic regala il sesto trofeo ai biancocelesti http://www.repubblic[...] 2013-05-26
[28] 웹인용 Coppa Italia: finale unica https://www.gazzetta[...] 2007-06-28
[29] 웹인용 Coppa Italia 2012/2013, 2013/2014 e 2014/2015 – Regolamento http://www.legaserie[...] 2012-06-04
[30] 웹인용 Coppa del 150° anniversario dell’Unità d’Italia http://www.difesa.it[...] 2011-05-29
[31] 웹인용 Regolamento Coppa Italia 2010/2011 e 2011/2012 – Premi società vincitrice http://www.legaserie[...] 2010-04-08
[32] 웹인용 Top Performances Throughout History In The Coppa Italia Forza Ialian Football https://forzaitalian[...] 2021-11-01
[33] 웹인용 Inter ko, la Coppa Italia diventa il derby di Roma https://www.corriere[...] 2013-04-1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